퀵메뉴

퀵메뉴 닫기
  • 홈
  • 정보마당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기숙사 식사와 관련된 의견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반갑습니다. 교육운영처장 남현우교수입니다. 학생의 의견은 잘 읽어 보았습니다. 부모님을 떠나 생활할 경우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겠지만 그 중 식사 문제는 아주 중요한 부분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의무식으로 할 것이냐 아니면 자유식으로 할 것이냐 하는 문제보다는 먼저 질과 메뉴종류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대책마련 시 깊은 고려사항으로 반영하겠습니다. 식사의 질이 좋으면 의무식으로 해도 많은 학생들이 별 불만없이 식사를 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식수인원이 늘어 또 식사의 질이 좋아지는 선순환이 계속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식사의 질입니다. 식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사비용이 증대되고 그것은 사생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재학생들이 부담할 수 있는 금액내에서 식사의 질을 최선으로 유지하려 하니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최선의 방법을 동원하여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임을 구성인 모두가 인식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질의 문제는 해결해야 할 원천적인 문제로 두고 그 동안 우리 대학에서 식사에 대하여 진행한 사항을 살펴보면 불과 2년전까지는 대부분 사생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학교에서 이윤추구를 하고 있지 않나 하는 오해에도 불구하고 건강과 식습관의 관점에서 몇 년동안 계속하여 의무식을 진행해 왔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생들이 경제적인 부담과 아침은 거의 먹지 않는다는 이유가 팽배해져 (이렇게 답하면 식사의 질이 나쁘니 당연한 것 아니냐 하는 생각을 가질 수 있겠지만 이전에 언급했듯이 질의 문제는 일단 해결해야 하는 원천적인 문제임을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면 의견을 물어 결정해달라는 자치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자유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학과마다 이 부분에 대한 의견도 다양하여 예를 들면 간호과인 경우는 학과의 수업진행 특성상 대부분 의무식을 원하고 있고 타 학과는 그 반대인 것도 여러 경로의 조사를 통하여 인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결과적으로 이 문제는 총체적으로 대부분의 사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매년 고민도 하고 있습니다. 현재 결정되어 있는 상황은 내년에는 신입생들 전원이 하루에 일식은 의무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2학년들은 어떻게 할 것이냐 하는 것은 아직 의논중에 있습니다. 개학하기 전까지 이 사항과 관련된 해결점을 학교 관계자와 관련 구성인들의 중지를 모아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발전적인 의견 개진에 고마운 마음을 전하면서 앞으로 학교당국(개인적으로 학교는 교수, 학생, 재단이 공동으로 발전시키고 이끌어 가는 공동체라고 생각합니다)이라는 용어가 우리 대학 재학생들의 인식에서 지워지길 기대하면서 답변에 대신합니다. 또 답변의 미흡한점이나 발전적인 의견이 있으면 언제던지 nhw@kdtc.ac.kr로 메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고 하는 일마다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내용 보기
이전글 복학하려 합니다 2005-02-02
다음글 개강이... 25일 맞죠?? 2003-08-23
  • 담당자 : 교육지원처 / 황현민 / 053-850-8086 / plastic@hosan.ac.kr